[ ✔️Unreal Engine ]
📍설치 :
EpicGames 공식사이트 접속 후 Epic Games Launcher 설치한다.
설치 후 게임런처를 실행하고, 좌측 목록에서 "언리얼 엔진"을 선택한다.
사용하고자 하는 엔진의 버전을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하면 되는데...
포스팅 기준 최신 버전은 5.3.2였지만, 강의가 5.1.1 기준으로 진행되었기에 해당 버전을 선택했다.
📍디버깅 심볼 :
기본적으로 설치 옵션에서 "디버깅을 위한 편집기 기호"가 빠져 있는데
C++ 프로젝트에서 "디버깅 심볼"을 보기 위해 설치항목에 포함시켜 준다.
📍프로젝트 생성 :
설치된 엔진의 "실행" 버튼을 선택하면 프로젝트 생성창이 등장한다.
생성하려는 프로젝트의 목적에 맞는 설정값들을 선택하고 Create 한다.
- Categories (GAMES)
- Template (Blank)
- Project Location
- Project Default (C++)
- Project Name
Project Deafault 설정을 C++로 했기에 프로젝트생성 시 소스코드 파일도 함께 생성된다.
프로젝트 생성시 소스코드 컴파일도 함께 진행되기에 프로젝트 생성시간이 좀 걸린다.
📍프로젝트 설정 :
언어설정 :
Unreal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영어로 된 자료의 퀄리티가 좋다고 한다. 때문에 UI 환경을 영어로 해두는게 좋다.
Edit → Editor Preferences → General → Region & Language
해당 경로에서 "Editor Language" 값을 "English"로 설정해 준다.
Editor 설정 :
Edit → Editor Preferences → General → Source Code
해당 경로에서 "Source Code Editor" 값을 사용할 Editor 로 지정해 주자
포스팅 기준 가장 최신 버전인 Visual Studio 2022로 설정해 줬다.
"Editor Preferences" 설정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마다 매번 하지 않아도 된다.
한 번만 설정해 주면 이후 생성되는 모든 프로젝트에 해당 설정이 반영된다.
[ ✔️Visual Studio ]
Unreal Editor 창에서 "Tools → Open Visual Studio 2022"를 선택해 주면 해당 프로젝트 관련 소스코드를 Visual Studio Editor로 열어준다.
📍프로젝트 설정 :
Error List :
Tools → Projects and Solutions → General
해당 경로에서 "Always show Error List if build finishes with errors" 해당 옵션이 체크해제 되어있는지 확인
기본값이 체크해제이기에 확인만 해주면 된다. (체크해제 이유는 잘 모르겠다...)
Solution Configurations :
빌드 환경을 설정해 주는 칸의 크기를 키워주자 해당 창의 기본값이 작기에 알아보기 힘든 문제가 있다.
경로 :
Solution Config 우클릭 → Customize → Commands → Toolbar : Standard → Preview : Solution Configurations → Modify Selection → Width 값 수정
[ ✔️Extensions ]
Visual Studio에서 Unreal Engine의 코드를 좀더 편하게 작성하기 위해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Unreal 프로그래밍을 하는 경우 Marco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그냥 사용하게되면 개행시 자동으로 들여 쓰기 되는 문제가 있다. → 가독성에 좋지 않다.
📍Visual Commander :
확장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Visual Commander - Modern alternative to Visual Studio macros
Visual Commander The freemium Visual Commander extension lets you automate repetitive tasks in Visual Studio 2022/2019/2017 and SSMS 17/2016. You can reuse existing Visual Studio macros from previous versions of the IDE and create new commands and extensio
vlasovstudio.com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제일 밑을 보면 Download 링크가 있다. (무료버전과 유료버전의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자)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vsix"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보일 텐데 해당파일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Visual Studio에 설치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Visual Studio의 Extensions에 "VCmd" 란이 생성된다.
📍UE4 Smarter Macro Indenting :
해석하면 "좀 더 똑똑한 메크로 들여 쓰기" 인데 의미대로 Unreal Macro 사용시 발생하던 들여쓰기 문제를 해결해 주는 확장 프로그램 이다.
GitHub - hackalyze/ue4-vs-extensions: Useful UE4 Visual Studio extensions.
Useful UE4 Visual Studio extensions. Contribute to hackalyze/ue4-vs-extension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Github 주소로 들어가 파일을 다운받고 압축을 풀면 "*.vcmd" 확장자 파일이 2개 있는데,
자신의 Visual Studio 버전에 맞는 파일을 사용하면 된다.
나의 경우 "vs2017-2019" 파일을 사용했는데 표기만 2019 일 뿐, 2022에도 잘 적용된다.
적용법은 "Extensions → VCmd → Import" 에서 다운받은 *.vcmd 파일을 선택해 주면 된다.
적용이 완료되면 Extensions → VCmd → Extensions... 란에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기본적인 설정은 끝이다.
================================
개인 공부 기록용 포스팅입니다.
댓글, 질문 환영해요~!
Unreal Engine Ver : 5.1.1
Refer : Inflearn_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램
================================
'Unreal > Inf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1.6 언리얼 오브젝트 리플렉션 시스템 Ⅱ⭕ (0) | 2024.04.08 |
---|---|
Part1.5 언리얼 오브젝트 리플렉션 시스템 Ⅰ⭕ (3) | 2024.04.08 |
Part1.4 언리얼 오브젝트 소개 ⭕ (0) | 2024.04.08 |
Part1.3 언리얼 C++ 기본 타입과 문자열 ⭕ (0) | 2024.04.08 |
Part1.2 언리얼 C++ 코딩 표준 ⭕ (0) | 2024.04.06 |